Dimadec |
각도
치수 문자에 대한 표시되는 정밀도 자릿수를 조정합니다.
-1 각도 치수는 Dimdec에 의해 지정된 소수부 자릿수를 표시합니다.
0 ~ 8 각도 치수에 표시되는 수수부 자릿수의 수를 지정합니다.(Dimdec의 독립) |
Dimalt |
이중치수, 두 가지 단위계로 치수기입을 한다. 대체단위 값은 [ ] 로 묶여 구분. (Default:
OFF)
∙ ON : 두 단위로 치수기입.
∙ OFF: 하나의 단위로 치수기입. |
Dimaltd |
이중치수 소수점 정밀도, [ ] 안의 대체단위계의 소수자리수를 설정한다.(Default: 2)
DIMALT가 켜진 경우 DIMALTD는 대체 측정의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설정합니다.
∙ 2 : imperial
∙ 3 : metric |
Dimaltf |
이중치수의 배율, [ ] 에 나타나는 대체단위 치수 값은 첫 번째 단위의 값과 Dimaltf변수에 설정된 인수를
곱한 값이다.
예를 들어, 측정 길이 값이 1이고 Dimaltf의 값이 2.54이면 [2.54]가 된다.(Default: 25.4) |
Dimaltrnd |
대체 치수 단위를 반올림합니다. Default: 0.0000
각도를 제외한 모든 치수 유형의 대체 단위에 대한 반올림 규칙을 설정합니다. 0.25를 입력하면 모든 대체 측정값은 가장 근접한
0.25 단위로 반올림됩니다. 1.0 값을 입력하면 모든 치수 측정은 가장 근접한 정수로 반올림됩니다. 소수점 뒤에 표시되는 숫자의
자릿수는 정밀도 설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
Dimalttd |
Dimalt(On), Dimtol(On)인 상태에서 [ ]안의 대체단위계뒤에 나오는 허용공차의 소수자리수를
조정한다. |
Dimalttz |
허용공차 치수기입에 대한 0 억제 여부를 조정한다. Default: 0 |
Dimaltu |
[ ]안에 나타나는 대체단위계를 설정한다. 단위는 다음과 같은 5가지가 제공된다.
∙ 1 : Scientific
∙ 2 : Decimal
∙ 3 : Engineering
∙ 4 : Architectural
∙ 5 : Fractional |
Dimaltz |
Dimalt 변수가 On이면 기입되는 [ ] 안의 대체단위 치수 값의 0을 억제 한다. 이중치수 무효의 0 표시여부
1:on 8:off |
Dimapost |
각도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치수에 대체 치수 측정단위의 문자 머리말 또는 꼬리말(또는 둘 다)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건축 단위를 사용하고 DIMALT가 켜져 있으며 DIMALTF가 25.4(인치당 밀리미터), DIMALTD가 2이고
DIMPOST가 "mm"로 설정된 경우 10단위의 거리는 10"[254.00mm]로 표시됩니다.
지정된 머리말이나 꼬리말 또는 둘 다를 끄려면 하나의 마침표(.)를 설정합니다 |
Dimash |
치수선의 화살표 모양을 다른 모양으로 대치 가능토록함 |
Dimaso |
치수요소인 치수선, 치수문자, 화살표 등을 단일요소로 연결하여 치수기입
할 것인지, 아니면 각각의 개별요소로 치수기입 할 것인지를 조정한다. (Default: on)
∙ On : 치수요소를 하나의 단일요소로 연결하여 치수기입 한다.
∙ Off : 치수요소를 각각의 개별요소로 분해하여 치수기입 한다.
☞ Dimaso 변수가 <Off>인 상태에서 치수기입된 치수요소는 Update 기능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Leader 명령은 dimaso 변수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개별요소로 치수기입 된다. |
Dimasz |
치수선 끝이 화살표 크기를 조정한다. (Default: 0.1800) |
Dimatfit |
0 무조건 바깥쪽으로 치수선과 치수문자 위치
1 치수선은 바깥쪽 문자는 안쪽에 위치
2 치수선은 안쪽 문자는 바깥쪽 위치 |
Dimaunit |
각도값에 대한 단위계를 설정한다. 단위로는 다음과 같이 5가지가
제공된다.(Default: 0)
∙ 0: Decimal degrees
∙ 1: Degree/Minutes/Seconds
∙ 2: Grads
∙ 3: Radians
∙ 4: Surveyor's Units
예 Dim: dimaunit
Current value <0> New value:
|
Dimblk |
치수기입시 치수선의 양끝에 나오는 화살표 대신 지정하는 블록으로 화살표를 대체시킨다.
지정한 블록을 화살표로 사용하다 다시 Default 모양으로 돌아오고자 한다면 마침표 "."를 입력하면 된다. |
Dimblk1 |
첫번째 화살표 모양을 바꿈.
첫 번째 치수 보조선에 나오는 화살표 대신 사용자가 작성한 블록 중 사용하고자 하는 블록으로 대체시킨다.
|
Dimblk2 |
두번째 화살표 모양을 바꿈.
두 번째 치수 보조선에 나오는 화살표 대신 사용자가 작성한 블록 중 사용하고자 하는 블록으로 대체시킨다. |
Dimcen |
원이나 호의 중심점을 표시함.
원이나 호의 치수기입시 중심 마크의 크기 조정.(Default: 0.0900)
∙ 0 : 중심 마크가 표시되지 않는다.
∙ (+) 양의 값 : 중심 마크의 크기 조절.
∙ (-) 음의 값 : 중심 마크 대신 중심선이 그려진다. |
Dimclrd |
치수선의 color 조정.(Default: BYBLOCK) |
Dimclre |
치수 보조선의 color 조정.(Default: BYBLOCK) |
Dimclrt |
치수문자의 color 조정.(Default: BYBLOCK),
(0-255,bylayer, byblock) |
Dimdec |
치수 값의 소수점 이하 표시할 소수자리수를 설정한다. (Default: 4) 0부터 8사이의 정수소 입력. |
Dimdle |
화살표가 아닌 티크(Tick)로 나타날 때 치수 보조선의 길이 값 조정. (Default: 0.0000) 하지만
아무리 Dimdle 변수가 값을 가지고 있더라도 Dimtsz<0.000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Dimdli |
Dimbaseline, Baseline 명령을 이용한 치수기입시 치수선과 치수선간의 거리 값 조정.(Default:
0.038) |
Dimexe |
치수 보조선의 길이 값 조정 (Default: 0.1800) |
Dimexo |
치수기입하려는 Object와 치수 보조선간의 거리 값 조정.(Default: 0.0625) |
Dimfit |
치수보조선 내부나 외부에서의 문자와 화살표 배치를 치수 보조선들 사이의 사용가능한 공간에 기초하여
조정한다.(Default: 3)
0 사용가능한 공간이 없는 경우, 문자와 화살표를 둘 다 치수보조선 외부에 배치한다. 문자를 이동할 경우, 치수선은 그것과 함께
이동한다.
1 문자가 들어갈 정도의 공간이 있는 경우, 문자를 치수보조선들 사이에 배치하고 화살표는 그 바깥에 배치한다.
문자가 들어갈 충분한 공간이 없는 경우는, 문자와 화살표 둘
다가 치수보조선 바깥에 배치된다.
문자를 이동할 경우, 치수선은 그것과 함께
이동한다.
2 화살표만 들어갈 정도의 공간이 있는 경우, 화살표를 치수보조선 사이에 배치하고 문자를 바깥쪽에 배치한다.
화살표가 들어갈 공간이 없는 경우, 문자와 화살표 모두를 치수
보조선 바깥쪽에 배치한다.
문자를 이동할 경우, 치수보조선은 함께 이동한다. 문자를
이동할 경우, 치수선도 함께 이동한다.
3 문자에 대한 공간이 충분할 경우, 문자를 치수보조선 사이에 배치하고 화살표는 치수선 바깥쪽에 배치한다.
화살표에 대한 공간이 충분할 경우, 화살표에 치수선 사이에
배치하고 문자는 치수선 바깥쪽에 배치한다.
문자나 화살표 모두에 대한 공간이 없는 경우, 둘다 치수선
바깥쪽에 배치한다.
문자를 이동하는 경우, 치수선은 문자와 함께
이동한다.
4 문자에 대해서만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 문자를 치수 보조선 사이에 배치하고 화살표는 치수보조선 바깥쪽에 배치한다.
화살표에 대해서만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 화살표를 치수
보조선 사이에 배치하고 문자는 치수선 위에 배치한다. 지시선은 문자를 치수선에 연결한다.
문자와 화살표에 대한 공간이 없는 경우, 화살표를 치수보조선
바깥쪽에 배치하고 치수 문자를 치수선 위에 배치합니다. 지시선은 문자를 치수선에 연결한다.
문자를 이동할 경우, 그것은 치수선에 관계없이
이동한다.
5 문자에 대한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 문자를 치수보조선 사이에 배치하고 화살표를 치수보조선 바깥쪽에 배치한다.
화살표에 대한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 화살표를 치수보조선
사이에 배치하고 문자를 치수선 위에 배치한다. 지시선은 작성되지 않는다.
문자와 화살표에 대한 공간이 없는 경우, 문자를 치수선에
관계없이 어디든지 배치할 수 있다.
문자를 이동할 경우, 치수선에 관계없이 이동한다. |
Dimgap |
치수문자와 치수선의 간격 조절 함
(문자가 치수선 중앙에 위치하면 수평 간격,치수선 위에 위치하면 수직 간격 조절)
Dimgap 0으로 설정되면 치수선 사이로 치수문자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치수선과 치수문자의 간격을 조정한다. 따라서 Dimtad
1 설정시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Default: 0.0900) |
Dimjust |
치수선에서 치수문자의 위치를 설정한다.(Default: 0)
∙ 0 : 치수선의 중앙에 위치한다.
∙ 1 : 치수선의 왼쪽에 위치한다.
∙ 2 : 치수선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 3 : 치수문자가 첫 번째 치수 보조선 위로 수직하게 위치한다.
∙ 4 : 치수문자가 두 번째 치수 보조선 위로 수직하게 위치한다. |
Dimlfac |
치수 자체의 스케일을 적용하여 숫자의 단위 스케일 적용 가능(DImpost와 연동해서 사용함)
(m 단위일 경우 1/1000을 기입해 줘야 제대로 된 치수로 표시된다)
치수기입 명령에 의해 측정된 측정 거리 값(수평 거리 값, 수직 거리 값, 반지름, 지름, 사선의 거리 값)은 치수기입 전에
Dimlfac 변수에 설정된 값과의 곱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길이 10㎜인 수평선을 1/2로 축소하여 작성하였다면 Horizantal 명령에 의해 측정된 거리 값은 5㎜로 측정된다.
그러나 Dimlfac 변수의 값이 (2.0)이라면 측정값은 10㎜로 계산되는 것이다.(Default: 1.0) |
Dimlim |
dimlim 변수가 ON 상태이면, Dimtm에 입력된 공차 값을 치수측정값과 계산하여 치수 한계를 치수기입 한다.
(Default: off)
∙ ON : 치수 한계를 나타낸다.
∙ OFF: 치수 한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
Dimpost |
치수 뒤의 접미사 를 붙일수 있음.
입력하는 문자를 치수문자와 함께 치수기입 한다. 예로 치수 측정값이 10.0이고 Dimpost<mm>로 설정되어 있다면
결과는 10.0㎜로 치수기입 된다. 입력한 문자를 취소하려면 마침표 " . " 를 입력하면 치수 측정값만이 치수기입
된다. |
Dimrnd |
측정된 치수 값을 Dimmd 변수에 설정된 값으로 반올림하여 치수기입 한다.(Default: 0.0) |
Dimsah |
Dimblk1, Dimblk2 두 변수에 지정한 블록을 화살표 대신 대체시킬 것인지 여부를 조정한다.(Defaul:
Off)
∙ On : 지정한 블록으로 화살표를 대체한다.
∙ Off : Dimblk1, Dimblk2 변수에 지정한 블록은 무시되고 Dimblk 변수에 지정된 블록으로 나온다.
☞ Dimblk1, Dimblk2 변수에 지정한 각각의 블록을 화살표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먼저 Dimsah 변수를 “ On ”으로
조정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즉 Dimsah 변수가 “ OFF”된 상태에서는 Dlmblk 변수에 지정된 블록 모양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Dimblk 변수는 Dimsah 변수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
Dimscale |
치수변수 중 치수요소의 크기, 간격, 거리등을 조정하는 변수들이 있다(Dimtxt, dimasz, Dimexe,
Dimexo 등). 이들 변수에 설정된 값은 Dimscale 변수에 설정된 값과의 곱으로 실제 크기가 조정된다.
예를 들어 Dimtxt<0.18> 이고 Dlmscale<2.0>인 상태에서 치수기입된 치수문자의 크기는
Dimtxt<0.36> 이고 Dimscale<1.0>인 상태에서 치수기입된 치수문자 크기와 같다는
것이다.(Default: 1.0) |
Dimsd1 |
첫 번째 치수 보조선으로부터 치수문자까지의 치수선을 제어한다.(Default: Off)
∙ ON : 치수선이 억제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 OFF: 치수선이 나나타나다. |
Dimsd2 |
두번째 치수 보조선으로부터 치수문자까지의 치수선을 제어한다. (Default: Off)
∙ ON : 치수선이 억제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 OFF: 치수선이 나타난다.
Dimsdl과 Dimsd2 이 두 변수는 Dimtad 변수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Dimtad가 0이면 화살표와 치수선 둘 다 영향을
받지만 Dimtad<1>이면 화살표만 영향을 3받는다. |
Dimse1 |
첫 번째 치수 보조선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Defailt: On)
∙ ON : 첫 번째 치수 보조선을 디스플레이 한다.
∙ OFF: 첫 번째 치수 보조선은 억제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
Dimse2 |
두 번째 치수 보조선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이다.(Default: On)
∙ ON : 두 번째 치수 보조선을 디스플레이 한다.
∙ OFF: 두 번째 치수 보조선을 나타내지 않는다. |
Dimsho |
이미 치수기입된 치수선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하여 Stretch 작업을 할 때 치수선이 그래픽 커서에 매달려서 끌기를
할 것인지 여부를 조정한다.(Default: off)
∙ ON : 치수선이 그래픽 커서에 매달려 끌기를 한다.
∙ OFF: 치수선이 그래픽 커서에 매달리지 않는다. |
Dimsoxd |
치수선이 치수 보조선 밖으로 나갈 경우 치수 보조선 사이에 지시선을 그릴 것인지를 조정한다. (Default:
Off)
∙ ON : 지시선이 나타나지 않는다.
∙ OFF: 지시선이 나타난다. |
Dimstyle |
지정하는 Dimstyle name에 조정된 각각의 치수변수들의 값을 기억한다. 따라서 도면의 치수기입시 각각의
치수변수를 그때 그때마다 변경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 부분에 대한 치수기입시 필요한 변수들끼리 미리 값을 설정하여 Dimstyle
name에 의해 그룹화 함으로써 필요한 Dimstyle name만을 조정하여 치수기입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
Dimtad |
치수기입시 치수문자의 위치를 조정한다.(Default: 0)
∙ 0 : 치수문자가 치수선 사이에 위치한다.
∙ 1 : 치수문자가 치수선 위에 위치한다.
∙ 2 : 치수문자가 치수선 바깥쪽 위치.
∙ 3 : (JIS 표준 규격)치수문자가 치수선 좌측 및 윗쪽 위치.
cf. R12의 경우 Dimtad가 ON/Off로 표시된다.(Default: on)
· ON : 치수문자가 치수선 위에 위치한다.
· OFF: 치수문자가 치수선 사이에 위치한다. |
Dimtdec |
치수에 대한 공차값을 표시하기 위한 소수부 자리수를 설정.(Default: 4)
DIMTDEC는 이 값을 명령 행에서 입력될 때 또는 주석 대화상자 의 1차 단위에서 설정될 때 저장. |
Dimtfac |
허용오차 텍스트의 높이를 조정한다. Default: 1.0000
즉, Dimtxt 변수에 설정된 치수문자의 크기와 Dimtfac 변수에 설정된 곱으로 허용공차의 치수문자 크기가 조정된다.
Dim : dimtfac
Current value <1.0000> New value: 높이값 조정. |
Dimtih |
치수보조선안에 있는 숫자를 강제적으로 수평상태로 만듬.
대각,세로 치수의 치수 문자도 수평으로 됨.
(치수 문자가 치수선 안에 있을 경우 해당됨)
∙ ON : 치수문자는 항상 수평 방향으로 나타난다.(세로 치수선에서 치수는 가로)
∙ OFF: 치수문자는 치수선과 나란하다.(세로 치수선에서 치수는 세로) |
Dimtix |
두 치수 보조선 사이의 치수문자 위치를 설정한다. (Default: OFF)
∙ ON : 치수 보조선 밖으로 치수문자 위치.
∙ OFF: 치수 보조선 사이로 치수문자 위치. |
Dimtm |
허용공차의 - 공차값 입력. Default: 0.0000
Dim : dimtm
Current value <0.0000> New value: 공차 값 입력.- 기호는 입력하지 않는다. |
Dimtmove |
(dimtix 에서 on으로 설정되면 다른 명령어가 적용되지 않음)
치수문자가 들어가지 못할 때
0 치수선은 안쪽 치수는 바깥
1 치수선은 안쪽 지시선을 만들어 치수기입
2 치수선 위에 치수 기입 |
Dimtofl |
치수선에 치수보조선을 강제로 표시할때 쓰는 명령.
(원의 반지름 보조선,지름 보조선을 나타내거나 안보이게함) (Default: OFF)
∙ ON : 치수 보조선 밖으로 그려진다.(화살표없이 선표시)
∙ OFF: 치수 보조선 사이로 그려진다. |
Dimtoh |
치수보조선밖에 있는 숫자를 강제적으로 수평상태로 만듬.
대각,세로 치수의 치수 문자도 수평으로 됨.
(치수 문자가 치수선 밖에 있을 경우 해당됨,원의 반지름치수에 자주쓰임)(Default: On)
∙ ON : 치수문자를 수평하게 한다. (지시선을 만들어 치수 기입, 치수선은 바깥쪽)
∙ OFF: 치수문자를 치수선과 나란하게 한다. (치수선, 치수 바깥쪽) |
Dimtol |
치수문자 옆에 허용오차 표기 여부를 조정한다.
∙ ON : 허용오차를 표기한다.
∙ OFF: 허용오차 표기를 하지 않는다. |
Dimtolj |
Dimtp/Dimtm 공차 값의 수직 위치 설정. Default: 1
∙ 0: 치수문자는 (-)공차 값과 수평하다.
∙ 1: 치수문자는 + - 값의 중간 위치
∙ 2: 치수문자는 +공차 값과 수평하다. |
Dimtp |
허용공차 + 공차 값 입력. Default: 0.0000
Dim : dimtp
Current value <0.0000> New value: 공차 값 입력 |
Dimtsz |
치수선 끝의 화살표 대신 길이 값의 티크(Tick)를 나타낸다.<Default: 0.0000>
일반적으로 치수기입을 하면 치수선 끝에는 화살표가 나타나는데, 이는 Dimtsz 변수가 0.0000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Dimtsz 변수가 조금이라도 값을 가지게 되면 Tick로 나타난다. |
Dimtvp |
dimtad 변수가 Off이면 치수문자는 치수선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치수선과 문자의 떨어지는 거리 값을
조정한다. 그러나 Dimtad ON이면 Dimtvp가 값을 가지고 있더라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Default: 0.0) |
Dimtxsty |
Style 명령에 의해 저장된 Text Style 중 지정하는 Style의 Font file을 치수 글씨체로
사용한다. |
Dimtxt |
치수문자의 크기를 조정한다. ( Default: 0.1800) |
Dimunit |
치수가 100단위가 넘어서면 쉼표를 나타낼수있는 명령어
치수값의 길이에 대한 단위 설정
∙ 1: Scientific
∙ 2: Decimal
∙ 3: Engineering
∙ 4: Architectural
∙ 5: Fractional |
Dimupt |
치수문자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치수선의 중앙에 위치한다. 그러나 Dimupt 변수를 ON으로 조정하게 되면 치수기입시
치수문자의 위치를 그래픽 커서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 On : 그래픽 커서를 이용하여 치수문자의 위치를 조정한다.
∙ Off : 치수문자는 치수선의 중앙에 위치한다. |
Dimzin |
측정 거리가 정수 피트일 때 피트 인치 치수의 인치 구간의 표시 억제 및 측정거리가 1피트보다 작을 경우 피트 구간
억제를 조정한다.
( on - 1 , off - 8 초기값 8)
1차 단위 값의 억제를 조정한다. ( Default: 0)
00 피트와 정확히 0 인치를 억제한다.
10 피트와 정확히 0 인치를 포함시킨다.
20 피트는 포함시키고 0 인치를 억제한다.
30 인치는 포함시키고 0 피트를 억제한다.
DIMZIN 0 - 3 값은 피트-인치 치수에만 영향을 준다. 그러나 모든 소수부 치수에서 앞쪽 0을 억제하려면 4를 추가하여야
한다(예 : 0.1000은 .1000됩니다). 뒤쪽의 소수부 0을 억제하려면 8을 추가한다(예 : 21.3000은 21.3가 되며
21.0000은 21이 된다). 12를 추가하면 (4와 8 모두) 앞쪽과 뒤쪽의 0을 모두 억제할 수 있다. (예 : 0.5000은 .5가
되며 0.0000은 0이 된다). DIMZIN은 또한 AutoLISP (rtoS)와(angtos) 함수에 의해 수행되는 실수 - 문자열
변환에도 영향을 준다. |